Liberation/Essays20 [Libre] 실패하지 않는 커뮤니케이션 기술 20대 스웨덴 여성과 20대 덴마크 여성, 셋이서 그룹콜을 가졌다. 스웨덴 여성이 말한다, 그룹콜에서 모르는 사람들이 대화를 듣고 있는 게 불안하다고. 그리고 자신의 불안감을 느끼는 정도와 양상이 다른 사람과 다르다고 한다. 예를 들면 가게에서 커피를 살 때 혼자서 머릿속으로 "점원이 내가 이 브랜드의 커피를 사는 것에 대해서 어떤 부정적인 생각을 할까?"라며 불안감을 느낀다고 한다. 나는 그 친구가 외롭지 않도록 "많은 사람들이 불안감을 느끼고 있어"라고 말했다. 그러자 덴마크 여성이 말을 끊으면서 강경하게 "아주 잘못 말하고 있어"라고 한다. 그런 단호함에 당혹스럽고 심지어는 나의 발언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라 여겨서 화도 났다. 그 자신감이 어떤 근거로부터 오는지 궁금해서 물었다. "어떤 부분이 잘못.. 2022. 10. 11. [Libre] 하루에 8시간씩 코딩하는 방법 내가 하루에 8시간씩 코딩하는 방법 그냥 책상 앞에 앉아서 랩탑 켜놓고 해야할일 목록에 적힌 작업을 진행하면서 음악 듣고 피곤할 때까지 코딩하면 될 줄 알았거든. 너무 피곤해서 별로 힘들지 않은 다른 작업들을 제외하고는 아무것도 하기 싫더라고. 오늘은 8시간 이상 코딩할 수 있었어. 코딩을 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생산성 시스템을 점차 만들어나갔어. 생산성 시스템은 3가지 주요 원칙에 바탕을 두고 있는데 바로 "일정", "내일 해야할 일들", "시스템 69 ㅡ글쓴이가 좋아하는 음악인 듯ㅡ"가 바로 그거야. 하지만 실제로는 이런 스타일의 작업 방식으로 2~4시간 동안 코딩을 하면 생산성이 죽어버려. "그럼 뭐가 바뀐 거냐고?"라고 물어보겠지. 일정 07:00~08:30: 명상, 스포트, 샤워 08:30~09.. 2022. 10. 9. [Psy] 꿈 일지: 어디든 따라다니는 귀신 어제 저녁에 외국 친구들 셋과 같이 공포영화를 함께 봤다. 반응은 참담할 정도로 재미 없음. 주변 친구들한테도 보지 말 것을 권할 정도였다. 그러고나서 일본 친구가 말했다. "너 오늘 이 영화 보고 잠들면 악몽 꾸는 거 아니야?" "그럴 것 같아. 나 악몽 가끔씩 보는데 꿈인 거 알고선 깨고 그래." 그러더니 정말 악몽을 꿔버렸다! 다른 능력과 형상을 가진 세 종류의 귀신을 고층 건물에서 굽어보고 있었다. 첫번째하고 두번째 귀신은 기억 속에서 이미 사라졌다. 마지막 귀신은 너무 충격적이라서 지금도 생생히 기억이 난다. 어떤 남자가 공터에서 정면을 보고 걸어가고 있었는데 흰 소복의 창백한 여자 귀신이 앞에 갑자기 나타났다. 당황한 남자는 몸을 틀어서 반대방향으로 갔다. 그랬더니 그 앞에 똑같은 형상이 재빨.. 2022. 10. 5. [Psy] 심리학 이론을 다루는 서적 추천 호주에서 심리학과 뇌과학을 전공중인 20대 홍콩 여대생이 심리학 입문 서적으로 "Thinking Fast and Slow"을 추천했다. https://docs.google.com/viewer?a=v&pid=sites&srcid=ZGVmYXVsdGRvbWFpbnxleXAyMDE0dWRlc2F8Z3g6MzQ5MDc1ZmFmMGZhM2Q1 2022. 9. 30. [Libre] 실용주의 - 현재 지향적 이념 엔지니어링에서 요구되는 덕목, 실용주의에 대해서 고찰했다. 신기한 점은 실용주의 자체는 시대가 변해도 살아남았다. 각 시기마다 "실용적인 것"의 개념이 바뀌긴 했지만 "실용적인 것을 추구하는 행위나 관점" 등은 여전히 유효하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실용주의는 현재의 필요에 집중하도록 돕는다. 옳고 그름을 따지는 것은 과거에 형성된 관점으로 현재와 미래의 가치를 평가하는 행위이다. 하지만 실용주의는 현재에 다수의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가치나 도구의 역할을 따지는 데 핵심적인 사상이다. 즉, 현재의 필요를 해결하는 일념이 실용주의의 지향점이다. 전자공학을 대학에서 전공했던 친구가 말했다, "기술자는 옳고 그름을 따지지 않죠. 철저히 유용성만을 봐요."라고. 그렇게 간략하고 정확하게 엔지니어링의 핵심을 말한.. 2022. 9. 23. [Libre] 업무에 대한 집중력을 향상하는 기술 집중은 특정한 목적을 지니고 생각과 느낌을 하나의 일에 모으는 행동이다. 업무의 완료 혹은 욕구의 해결이 특정한 목적이 된다. 사실 업무의 완료 또한 업무를 수행하는 개인의 어떠한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다. 따라서 해당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욕구가 뚜렷하고 더욱 강렬하다면 업무를 완료하기 위한 목적의식 또한 뚜렷해진다. 집중력을 약하게 하는 요인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신체적 고통과 피로 수준이 업무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데 방해가 될 정도로 심한 경우 -업무 외 다른 활동들이 단기적인 만족도와 쾌감 수준에 있어서 앞서는 경우 따라서 집중력을 강하게 하기 위해선 운동 -스트레칭-, 식단조절 -적당한 음식 섭취- 등을 통해서 체력을 강화해야 한다. 두번째로는 업무 외 .. 2022. 9. 19.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