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puter/Network36

[Net-Switch] L4/L7 스위치 차이 L4 로드 밸런싱과의 차이 L4 스위치는 4계층의 프로토콜 상태 기준, L7 스위치는 애플리케이션 상태 기준 즉, L4 스위치는 TCP가 아예 죽어야 장애를 인식하지만, L7은 웹서비스의 장애를 인지 가능 L4 Load Balancer는 IP, Port 를 기준으로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통해 부하를 분산합니다. 클라이언트에서 로드밸런서(DNS)로 요청을 보냈을 때 최적의 서버로 요청을 전송하고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줍니다. 즉, 요청하는 서비스의 종류와 상관 없이 공장을 여러 개 돌리는 것입니다. L7 Load Balancer는 L7 위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IP, Port 이외에도 URI, Payload, Http Header, Cookie 등의 내용을 기준으로 부하를 분산합니다. 그래서 콘텐츠 기반 스위.. 2022. 11. 25.
[Term] 상면? 상면: 장비나 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 2022. 11. 22.
[Term] WAN, MAN, LAN, PAN? MAN: 50km 이내에 위치한 단일 네트워크 리소스들의 집합 LAN: 10km 이내에 위치한 단일 네트워크 리소스들의 집합 WAN: LAN의 집합 PAN: 블루투스나 UWB 등의 기술을 이용해서 개인 휴대기기 사이에서 구성된 무선 연결망 https://simroot.tistory.com/3 2022. 11. 14.
[Basic] IPv4 주소 체계에 대한 암기사항 출처: 유튜브 널널한 개발자 TV - IPv4 주소 체계에 대한 암기사항 https://youtu.be/gOMljj6K2V0 IP 주소: Host에 대한 식별자. 주민등록번호와 비슷함. Internet Protocol(인터넷 규약). 대한민국의 행정체계에서 한 개인을 식별할 수 있도록 부여된 게 주민등록번호. 대한민국의 행정체계 = Network infrastructure 개인 = Host 개인 식별자 = IP 주소 IP 주소의 버전 **주소 길이의 차이 (암기) IPv4: 32bit = 2의 32제곱 => 약 43억개 = Internet에 참여할 수 있는 Host의 수는 약 43억개 **일반적으로 쓰이는 버전 IPv6: 128bit = **학술적인 목적으로 주로 쓰이는 버전 32bit = 2의 32제곱.. 2022. 10. 25.
[Basic] Host, Switch, Network 이들의 관계에 대해... 출처: 유튜브 널널한 개발자 TV - 네트워크 기초 이론 - Host, Switch, Network 이들의 관계에 대해... https://youtu.be/kGst-VftN1w Host, Switch, Network Host란 컴퓨터인데 네트워크에 연결이 되어 있으면 Host라 불림. Host 중에는 Network 자체인 경우가 있고, Network 이용주체인 경우가 있음. Host가 Network 자체를 이룰 경우에 Switch라고 부름. e.g. 역할에 따라 Router, F/W, IPS로 불림 **경로선정: Router / 보안: F/W, IPS Host가 Network 이용주체일 때에는 End point(단말)라고 한다. e,g,역할에 따라 Peer(client/server 외), Server, .. 2022. 10. 24.
[Basic] 네트워크 기초 이론: TCP/IP + HTTP 출처: 유뷰트 - 널널한 개발자 TV - 네트워크 기초 이론 https://youtu.be/k1gyh9BlOT8 TCP/IP Network를 배우려는 분들은 모두 OSI 7 Layer에서 시작한다. 하지만 OSI 7 Layer를 먼저 공부하지 마라. 그 이유로는... 1. OSI 7 Layer는 완벽하게 개념에 관한 이야기이다. 개념(abstraction) vs 사실(implementation) "사람"이 개념이라면 "최호성" 같은 사람이 있는 것이다. "최호성"은 "사람"의 실체이다. "사람"은 이상과 비슷하다. OSI 7 Layer는 이상에 해당한다. "최호성"이라는 사람과 친해지고 싶으면 "최호성"에 대해서 알아봐야 하지 "사람"에 대해서 알아보는 건 올바르지 못하다. TCP/IP + HTTP는 구.. 2022.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