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puter/Network36

[Protocols] HTTP 요청 메소드 Get: 특정 리소스의 표시를 요청. 데이터 내려받기 Head: Get과 동일한 응답 요청. 그러나 응답 본문을 포함하지 않음. Post: 특정 리소스에 엔티티를 제출할 때 사용. 업로드 Put: 목적 리소스의 모든 현재 표시를 요청 payload 로 바꿈 Delete: 특정 리소스를 삭제 Connect: 목적 리소스로 식별되는 서버로의 터널을 맺음. Options: 목적 리소스의 통신을 설정하는 데 쓰임. Trace: 목적 리소스의 경로를 따라 메시지 loop-back 테스트를 진행. **다른 시스템에 연결하지 않고 통신 링크 테스트 Patch: 리소스의 부분만을 수정.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TP/Methods HTTP 요청 메서드 - HTTP .. 2022. 8. 29.
[Term] CNAME과 A 레코드? A 레코드는 도메인의 주소와 IP 주소를 매핑시키는 방법 CNAME 레코드는 도메인 주소를 다른 도메인 주소로 매핑시키는 방법 장단점 A 레코드는 도메인 주소 조회시 바로 IP 주소를 알려주기 때문에 신속함. 하나의 IP와 A 레코드로 매핑된 여러 서브도메인이 있다면 IP 변경시에 모든 A 레코드를 변경해야 함. CNAME은 도메인 주소 조회시 여러번의 요청을 거쳐여 하기 때문에 로딩까지 걸리는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하나의 호스트네임이 A 레코드로 IP 주소와 매핑이 되어있고 나머지 서브 도메인들이 해당 호스트네임과 CNAME으로 매핑이 되어있다면 A 레코드의 IP 주소만 변경해주면 자동으로 서브 도메인이 새로운 IP 주소에 연결이 된다. https://dev.plusblog.co.kr/30 DNS에.. 2022. 8. 28.
[Term] PoP? PoP(Point of Presence)? 네트워크 상호간 또는 개별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점 또는 접근점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1759 2022. 8. 28.
[Terms] PCI란? PCI(PCI DSS; 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란? a widely accepted set of policies and procedures intended to optimize the security of credit, debit and cash card transactions and protect cardholders against misuse of their personal information. 카드소유자의 개인정보 남용을 막고 크레딧, 선불, 현금카드 등의 결제과정에 있어 보안을 최적화하기 위한 정책 및 절차를 규정하는 표준 https://www.techtarget.com/searchsecurity/definition/PCI-DSS-Paym.. 2022. 8. 22.
[Terms] 블록 암호 모드란? 블록 암호 모드(cipher block mode)란? 블록 암호(block cipher)에서 블럭 단위로 암·복호화 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운용하는 절차 https://plummmm.tistory.com/300 블록 암호 운영 모드 (Cipher Block Modes of Operation) 이번에는 블록암호의 운용 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하나의 키 하에 블록 암호를 반복적으로 안전하게 이용하게하는 절차를 말한다. 여러가지 방식들이 있다. 1. ECB (Electronic Code Book) 한국말로 번 plummmm.tistory.com https://itwiki.kr/w/%EB%B8%94%EB%A1%9D_%EC%95%94%ED%98%B8_%EB%AA%A8%EB%93%9C IT위키 IT에 관한 모든 지.. 2022. 8. 22.
[Terms] Ingress 그리고 Engress 정말 흔히 들었던 용어이다. 아래 출처에 따르면 ingress는 외부에서 서버로 유입되는 트래픽, engress는 서버에서 외부로 나가는 트래픽을 의미한다고 한다. https://velog.io/@gadian88/Ingress-%EC%99%80-egress-%EC%B0%A8%EC%9D%B4 Ingress 와 egress 차이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은 Ingress와 egress 으로 구분된다. Ingress는 외부로부터 서버 내부로 유입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egress는 서버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트래픽을 의미한다 velog.io 그런데 찾아보니 물리적인 서버뿐만이 아니라 Kubernetes의 cluster가 트래픽의 출발지로 되는 경우에도 ingress를 사용하는 모양이다. 구글에서 영어 예.. 2022. 8. 15.